본문 바로가기

국내증시 마감시황416

2022.01.12(수) 오늘 주식시황 (이슈/수급/특징주/뉴스) 파월 청문회 발언에 글로벌증시 환호 파월 발 호재를 반영하며 상승했습니다. 제롬 파월 의장이 양적 긴축을 올해 하반기에 실시하겠다며 속도조절에 나서자 시장은 안도했습니다. 금리는 하락했고, 미 증시는 일제히 반등했습니다. 연말 이후 연일 매도 물량을 쏟아내던 기관투자자가 드디어 매수세로 돌아섰습니다. 국내지수 코스피 : 2,972.48(+1.54%) / 코스닥 : 991.33(+2.21%) 구 분 코스피 코스닥 주 체 외국인 개인 기관 외국인 개인 기관 순매수 455,071 -1,072,844 605,505 39,112 -164,724 132,981 (단위 : 백만원) 외인/기관 순매수 상위 구 분 코스피 코스닥 순매수 외인 기관 외인 기관 1위 LG화학 SK이노베이션 위메이드 에코프로비엠 2위 KB금융.. 2022. 1. 12.
2022.01.11(화) 오늘 주식시황 (이슈/수급/특징주/뉴스) 주요 이벤트 앞두고 혼조세 조기 긴축 우려가 지속되는 가운데 주요 이벤트를 앞두고 혼조세로 마감했습니다. 오늘밤 제롬 파월 의장의 청문회를 시작으로 12월 美 소비자, 생산자물가지수가 연이어 발표될 예정입니다. 외국인이 코스피를 순매수했습니다. 서비스업은 매도하는 한편 전기전자 업종은 올해 들어 매일 사들이며 긍정적인 수급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국내지수 코스피 : 2,927.38(+0.02%) / 코스닥 : 969.92(-1.07%) 구 분 코스피 코스닥 주 체 외국인 개인 기관 외국인 개인 기관 순매수 482,786 -218,904 -261,905 -139,524 228,379 -104,114 (단위 : 백만원) 외인/기관 순매수 상위 구 분 코스피 코스닥 순매수 외인 기관 외인 기관 1위 삼성전자 N.. 2022. 1. 11.
2022.01.10(월) 오늘 주식시황 (이슈/수급/특징주/뉴스) 조기 긴축 우려 지속되며 하락 조기 긴축 우려가 지속되며 하락했습니다. 지난 금요일 발표된 美 12월 실업률이 팬데믹 이후 최저치를 기록하며 금리선물에 반영된 3월 금리인상 확률은 90% 수준까지 상승했습니다. 오는 12일 제롬 파월 의장의 인사청문회를 앞두고 투자자의 경계 심리가 확대된 것도 지수 하락에 영향을 미쳤습니다. 외국인이 6거래일 만에 매도로 돌아섰습니다. 인터넷 기업이 포함되어 있는 서비스 업종에 대한 매도세를 지속해나가는 한편, 전기전자와 은행, 보험 등 금융주는 사들였습니다. 4분기 실적 부진 우려로 화장품, 면세점 등 소비주는 하락했습니다. 국내지수 코스피 : 2,923.72(-0.95%) / 코스닥 : 980.38(-1.49%) 구 분 코스피 코스닥 주 체 외국인 개인 기관 외국인 .. 2022. 1. 10.
2022.01.07(금) 오늘 주식시황 (이슈/수급/특징주/뉴스) IT업종 반등에 힘입어 상승 낙폭과대 인식으로 3거래일만에 반등했습니다. 특히 대형 IT업종의 강세가 코스피 상승을 이끌었습니다. 외국인의 수급 개선이 뚜렷합니다. 코스피를 5거래일 연속 매수한 가운데, 선물도 6천억원 넘게 사들였습니다. 한편 기관은 연말 배당락 이후 매도 물량을 계속해서 출회하고 있습니다. 국내지수 코스피 : 2,954.89(+1.18%) / 코스닥 : 995.16(+1.52%) 구 분 코스피 코스닥 주 체 외국인 개인 기관 외국인 개인 기관 순매수 655,435 -244,197 -335,730 59,782 22,926 -83,807 (단위 : 백만원) 외인/기관 순매수 상위 구 분 코스피 코스닥 순매수 외인 기관 외인 기관 1위 삼성전자 KODEX 레버리지 위메이드 SNK 2위 LG.. 2022. 1. 9.
2022.01.06(목) 오늘 주식시황 (이슈/수급/특징주/뉴스) 조기 긴축 우려 확대되며 하락 조기 긴축 우려가 확대되며 하락했습니다. 오늘 새벽 공개된 12월 FOMC 의사록에서 예상보다 빠른 금리 인상 및 양적 긴축 시행 가능성이 확인되며 美 10년물 국채 금리는 급등했습니다. 기관투자자가 연말 이후 지속적인 매도세를 이어가는 가운데, 외국인은 나흘 연속 코스피를 순매수 했습니다. 금리 상승의 영향으로 철강/금속, 건설 등 밸류에이션 매력이 부각되는 경기민감 업종이 올랐습니다. 특히 조선 업종은 연초부터 이어지는 대규모 수주 보도까지 더해져 큰 폭의 상승을 이어갔습니다. 반면, 밸류에이션 부담이 높은 바이오, 인터넷 업종 등은 하락세를 보였습니다. 국내지수 코스피 : 2,920.53(-1.13%) / 코스닥 : 980.30(-2.90%) 구 분 코스피 코스닥 주 .. 2022. 1. 6.
2022.01.05(수) 오늘 주식시황 (이슈/수급/특징주/뉴스) 조기 긴축 우려 지속되며 하락 긴축 가속화 우려에 따른 美 국채 금리 상승과 달러 강세 영향으로 하락했습니다. 내일 새벽 예정되어 있는 FOMC 의사록 발표 역시 투자자의 경계심리를 자극했습니다. 외국인이 사흘 연속 코스피를 순매수했습니다. 기관투자자는 연말 배당락 이후 6거래일 연속 매도 물량을 쏟아내며 지수를 끌어내렸습니다. 국내지수 코스피 : 2,953.97(-1.18%) / 코스닥 : 1,009.62(-2.14%) 구 분 코스피 코스닥 주 체 외국인 개인 기관 외국인 개인 기관 순매수 617,516 698,354 -1,322,175 -232,478 490,705 -244,133 (단위 : 백만원) 외인/기관 순매수 상위 구 분 코스피 코스닥 순매수 외인 기관 외인 기관 1위 현대글로비스 KODEX.. 2022. 1. 5.
2022.01.04(화) 오늘 주식시황 (이슈/수급/특징주/뉴스) 긴축 우려 확산되며 혼조세 美 국채 금리 상승에 대한 부담감이 반영되며 혼조세를 보였습니다. 금리 선물시장에 반영된 내년 3월 Fed의 기준금리 인상 확률이 60%를 넘어서며 긴축 가속화에 대한 우려가 커졌기 때문입니다. 미국의 코로나19 일 신규 확진자가 전 세계 처음으로 100만 명을 넘어선 것도 부정적으로 작용했습니다. 국내지수 코스피 : 2,989.24(+0.02%) / 코스닥 : 1,031.66(-0.59%) 구 분 코스피 코스닥 주 체 외국인 개인 기관 외국인 개인 기관 순매수 90,350 645,727 -745,318 -232,271 530,250 -279,378 (단위 : 백만원) 외인/기관 순매수 상위 구 분 코스피 코스닥 순매수 외인 기관 외인 기관 1위 삼성전자 SK이노베이션 컴투스홀.. 2022. 1. 4.
2022.01.03(월) 오늘 주식시황 (이슈/수급/특징주/뉴스) 새해 첫 거래일 상승 마감 금주 FOMC 의사록 및 미국 고용지표 발표 등을 앞두고 경계심리가 확대되며 일부 상승폭을 반납했습니다. 외국인이 코스피를 이틀 연속 순매수했습니다. 전기/전자 업종에 집중적인 매수세를 보였고 철강/금속,화학,운수창고 등 경기민감주도 일부 사들였습니다. 반면 기관투자자는 8천억원 이상 순매도했는데, 연말 배당수익 확보를 위해 매수한 물량을 출회하는 것으로 해석됩니다. 국내지수 코스피 : 2,988.77(+0.37%) / 코스닥 : 1,037.83(+0.37%) 구 분 코스피 코스닥 주 체 외국인 개인 기관 외국인 개인 기관 순매수 265,439 522,982 -811,031 -205,996 387,621 -172,242 (단위 : 백만원) 외인/기관 순매수 상위 구 분 코스피 .. 2022. 1. 3.
2021.12.30(목) 오늘 주식시황 (이슈/수급/특징주/뉴스) 증시 폐장일 앞두고 혼조세 연말을 맞이하여 거래대금이 크게 감소하며 투자자의 관망 심리가 이어지는 모양입니다. 외국인과 기관투자자가 양 시장을 동반 매도하였습니다. 외국인과 기관 모두 의약품, 화학, 운수장비 및 창고를 중심으로 매도 물량을 출회했습니다. 한편, 외국인은 전기전자 업종에 대해서는 매수세를 나타냈습니다. 연기금 역시 전기전자 업종을 8거래일 연속 사들이며 긍정적인 수급 흐름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국내지수 코스피 : 2,977.65(-0.52%) / 코스닥 : 1,033.98(+0.58%) 구 분 코스피 코스닥 주 체 외국인 개인 기관 외국인 개인 기관 순매수 -213,800 953,600 -760,600 -25,100 222,000 -189,400 (단위 : 백만원) 외인/기관 순매수 상위.. 2021. 12. 30.
반응형